아산시에서 대중교통비를 환급해 주는 사업입니다. 이미 5월부터 시행 중에 있으니, 아직 신청하지 않으신 분은 지금이라도 즉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K-패스 사업
국민들의 대중교통비 절감 및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대중교통 이용 요금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 주는 사업
K-패스 환급 비율
일반(20%), 청년(30%), 저소득층(53%)에 따라 환급 비율 책정
※ 청년: 「청년기본법」에 따른 19~34세,
저소득: 「기초생활보장법」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
환급비용 지급 기준
월 대중교통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
※ 가입일 해당 월의 경우 15회 미만에도 환급, 익월부터 15회 미만 이용 시 미지급
※ 60회 이상 이용 시 이용요금이 많은 순으로 60회에 대하여 환급
※ 교통카드사에서 정보 수신 시기에 따라 환급액은 4~14일 이후 확인 가능
지급 방법
K-패스 카드 사용 익월에 청구 할인(신용카드), 계좌 입금(체크카드), 충전(모바일선불카드) 방식 등 카드사의 지급 방식에 따라 지급
※ 하나카드의 경우 사용 2개월 후에 마일리지 지급
K-패스 사용 절차
1. 기존 알뜰교통카드 회원 →
알뜰교통카드 앱/홈페이지를 통하여 K-패스 회원전환 후 별도 카드 발급 없이 기존 알뜰교통카드로 이용 가능
※ 회원전환을 하지 않고 이용할 경우 K-패스 환급비용 미지급(~'24.6.30. 까지 전환 가능)
2. K-패스 신규가입회원 → K-패스 카드 발급 후 K-패스 앱/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가입
※ 카드발급 카드사(총 11개사): 신한, 우리, 하나, 삼성, KB국민, NH농협, BC(기업, 케이뱅크, 광주은행), 이동의즐거움, DGB유페이
※ '24.4.24.(수)부터 각 카드사에서 K-패스 카드신청 후, 5월 1일부터 K-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가입가능
회원가입 절차
1. 카드사에서 K-패스 카드 신청 및 수령
2. K-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(www.korea-pass.kr) 접속
3. [회원가입] 클릭
4.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6자리 입력, [유효성체크] 클릭
5. 본인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 진행(PASS앱 또는 문자인증)
6. 주민등록번호(외국인등록번호) 입력 후 주소지 검증 실시
※ 저소득 대상일 경우 저소득 검증 추가 실시
7. 회원정보 입력 후 가입완료
'돈 버는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vs 주식, 2025년 어디에 투자할까? (1) | 2025.03.01 |
---|---|
2025년 인기 있는 재테크 방법 5가지 - 2025년에도 돈을 불리는 스마트한 투자 전략 (2) | 2025.03.01 |
아산시 도시민박 창업 교육생 선착순(?) 모집 (1) | 2024.05.21 |
아산시 2024년 공유 아카데미 수강생 선착순 모집 (마감임박) (0) | 2024.05.10 |
2024년 소상공인 온라인 마케팅비 70만원 받아 가세요 (1) | 2024.05.08 |
댓글